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나는 군함도 4416번이었다”…생생한 증언
2017-07-15 19:32 문화

조선인들이 강제징용돼 지하 탄광에서 일했던 곳.

일본의 작은 섬인 군함도입니다.

관련 영화 개봉을 앞두고 이 섬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데요.

실제로 군함도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렸던 생존자의 생생한 증언을 들어봤습니다.

김설혜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일본 나가사키항에서 남서쪽으로 18km 떨어진 곳.

군함 모양을 닮아 '군함도'라고 불리는 일본명 '하시마' 섬입니다.

1940년에서 1945년 사이 수많은 조선인들이 이 섬에 끌려갔습니다.

[김형석(97) / 군함도 강제징용 피해자]
"1943년 11월 17일, 음력으로는 10월 20일날이었어.이장이 그래요. 징용장이 나왔으니까 이 사람들 따라가야겠다."

이렇게 시작된 군함도에서의 생활.

밤낮없이 지하 탄광에서 중노동에 시달려야만 했습니다.

[김형석(97) / 군함도 강제징용 피해자]
"징용에 끌려가서 땀 흘리면 탄가루 묻은 수건으로 닦으니까 눈이 못쓰게 된 거지"

강제징용된 조선인들은 1000미터 깊이의 비좁은 탄광에서 최대 16시간을 일했습니다.

탄광 안은 습도가 90%에 이르고 온도가 45도에 이르는 등 그야말로 처참한 환경이었습니다.

김형석 할아버지는 당시 4416번으로 불렸습니다.

[김형석(97) / 군함도 강제징용 피해자]
"번호가 있어. 4416번. 그것이 내 번호요. 일본 말로 욘센 욘햐쿠 쥬 로쿠"

가장 큰 고통은 배고픔.

콩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로 끼니를 때우며 일했지만, 아무것도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피해자들의 한이 서린 군함도는 2년 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습니다.

군함도의 아픈 역사까지 모두 밝힌다는 '조건부 등재'였지만, 등재 직후 일본은 강제 징용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호사카 유지 /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일본은 군함도가 일본의 산업혁명에 대단히 도움이 되었던 밝은 부분만 보이려고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

숨겨진 과거사에 대한 해결 없이 한일 관계의 진정한 복원은 요원하다는 지적입니다.

채널A 뉴스 김설혜입니다.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