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총장은 이날 국방위 전체회의에 출석한 자리에서 '계엄 사실을 언제 알았냐'는 의원들의 질의에 "계엄 선포는 대통령의 담화 발표를 보고 알았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바로 이어진 전군지휘관회의에서 명확히 인지했다"고 부연했습니다.
박 총장은 자신의 명의로 발표된 계엄 포고령에 대해서는 당시 김용현 국방장관에게 '법률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김 장관이 법률 검토를 마쳤다고 해서 발표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자신이 고친 부분은 '포고령 22시'로 되어 있는 부분을 '포고령 23시'로 고친 것 밖에 없다고도 밝혔습니다.
특히 "계엄 상황은 (제가) 조금 약해서 '어떡하냐, 어떡하냐' 하다가 시간이 지났다"며 "포고령을 선포하라고 대변인이 연락이 와서 뛰어 올라가 시간만 수정한 뒤 바로 포고했다"고 포고령 경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또한 국회 병력 투입에 대해서, 자신이 직접 지시하지도 않았고 투입 여부도 처음에는 몰랐다며 "흘러가는 과정과 병력의 움직임을 (내가) 몰랐던 것이 사실"이라고 인정했습니다.
해당 명령을 내린 주체에 대해서는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이) 구두로 (특전사와 수방사에) 지시 하신 것을 주변에서 들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국회 군 투입에 대해서는 "명령 하달의 기회가 없었다"고 본인의 지시가 아닌 점을 강조하며 책임을 강력하게 부인했습니다.
다만 박 총장은 "군인은 명령이 있으면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계엄군에 명령 내릴 수준의 조직이 없었다"고 계엄사령관으로서의 임무는 '지휘 통제 구성을 조직하는 것'에 그쳤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