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방송되는 채널A <서민갑부>에서는 독도 앞바다의 거친 파도와 씨름하며 독도 새우를 잡는 정구진(43세) 씨의 이야기가 소개된다.
독도 새우는 2017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당시 국빈 만찬에 올라 화제가 됐다. 구진 씨는 높은 몸값을 자랑하는 독도 새우의 매력을 15년 전부터 알아봤다고 한다.
정구진 씨는 부산 기장에서 어부와 해녀의 아들로 태어났다. 사춘기 시절 그는 시장에서 비린내를 풍기며 해산물을 파는 어머니가 부끄러워 숨곤 했다. 고생하는 부모님을 보며 자신은 커서 절대 배는 타지 않겠다고 다짐한 그는 일식 조리사 자격증을 땄다. 하지만 15년 전 우연히 먹어본 독도 새우의 맛에 매료돼 다시 바다로 돌아왔다.
현재 정구진 씨의 독도 새우는 전국 20 여 곳의 거래처에 납품된다. 뿐만 아니라 그는 부산에서 직접 식당을 운영한다. 식당은 언제나 손님들로 북적인다. 그가 바다와 육지를 모두 오가며 벌어들이는 연 매출은 약 25억 원. 구진 씨가 갑부가 된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정구진 씨가 독도 앞바다에 수백 개의 통발을 던지고 건져 올리길 반복해 일주일에서 열흘 동안 잡아 올리는 독도 새우의 양은 700~800kg. 금액으로 환산 하면 1억 원에 이른다. 수심 200~300m의 심해에 사는 독도 새우는 개체수가 많지 않아 통발 한 개에 1마리도 없을 때가 많다고 한다. 하지만 구진 씨의 통발에는 독도 새우가 가득하다. 던지는 족족 새우를 걷어들이는 그만의 비결은 특별한 미끼에 있다. 숱한 고민과 연구 끝에 발견한 특별한 미끼의 정체는 방송에서 공개된다.
한편 독도 새우는 관리하는 것도 까다롭다. 2~4℃의 수온에서만 살고 햇빛을 조금만 받으면 모두 폐사해 버린다. 정구진 씨는 독도 새우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가게 수족관에 설치된 온도계와 CCTV를 통해 24시간 새우의 상태를 살펴본다. 부산에서 울릉도까지 직접 수족관을 옮겨갔던 구진 씨의 열정은 울릉도 주민들조차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고.
바다와 육지를 종횡무진 누비며 연 25억 원의 매출을 거두는 ‘독도 새우 갑부’ 정구진 씨의 이야기는 31일 밤 9시 50분 채널A <서민갑부>에서 공개된다.
어디에도 없는 독한 갑부가 온다! 채널A <서민갑부>는 맨바닥에서 시작해 온갖 역경을 딛고 일어난 자수성가 서민 갑부들의 삶을 통해 따뜻한 감동과 독한 갑부 비법을 전달하는 대한민국 서민 성공 프로젝트. 매주 목요일 밤 9시 50분 방송.
채널A의 각종 서비스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올려진 정보를 얻고자 하실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채널A가 제공하는 모든 제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연결(링크)된 사이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는 회원의 개인적인 판단에 따라
불쾌감 또는 피해를 주는 내용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채널A의 각 사이트 및 동호회 서비스 등에서 채널A 사이트 외부로의 링크
결과 열람하시는 사이트에서 현행 국내법상 불법이거나, 사회의 일반통념, 질서 및 미풍양속 등에 어긋나는 내용을 사전에 차단
하는 것과 관련하여 채널A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채널A는 네트워크에 링크된 모든 사이트에 수록된 자료의 정확성이나 상표법, 저작권법 등의 관계 법령의 준수 여부에 대하여
어떤 책임도 부인합니다. 회원님들께서는 채널A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웹사이트 또는 제3자에 의하여 채널A네트워크
상에서 작동되거나 제공되는 모든 정보, 상품들은 채널A의 통제 권한 밖에서 제작, 게시 및 작동되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회원들이 복제 인용 등의 방법으로 채널A 사이트 안에 다른 사이트의 콘텐츠를 제공하였을 경우, 콘텐츠의 내용은 제3자에 의하여
개발되었고 회원에 의해 게시되었므로 채널A의 책임 여부와는 무관함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채널A가 스스로 제공하는 콘텐츠에 관하여는 위에 열거된 법령과 혹시 누락된 법령일지라도 관련 법령을 준수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채널A의 서비스에 관하여 일반적 혹은 관계 법령의 준수에 관한 조언을 하고자 하실 때에는 언제나
홈페이지에 게시된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