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 사옥에서 열린 소액결제 피해 관련 기자 브리핑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하는 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 (사진출처 : 뉴시스)
KT는 오늘(17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사옥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전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불법 기지국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 발견돼 총 20개로 늘어났고, 해당 ID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고객 수도 추가로 2197명 파악돼 총 2만 2227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은 기존 362명에서 6명이 추가된 368명으로 확인됐고, 해당 고객 6명의 소액결제 피해액은 총 319만원으로 드러났습니다.
불법 기지국이 KT 가입자의 휴대전화와 접속하기 시작한 시점은 지난해 10월 8일로, 총 접속 기간은 305일로 파악됐습니다. 접속 지역도 기존 서울·경기 외에 강원까지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T는 이번 조사에서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 10일까지의 통신과금대행 결제내역 1억 5천만 건을 전수조사하고, 전체 휴대폰과 기지국 간 4조 300억 건의 접속 기록을 분석했습니다. 이를 통해 불법 기지국을 탐지한 뒤 ID 접속 이력과 전체 결제 데이터를 교차 검증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조사 대상에는 소액결제 8400만 건과 DCB 결제 6300만 건이 모두 포함됐습니다. 또 기존엔 ARS 인증 결제 위주로 분석했으나 이번엔 조사범위를 SMS(문자메시지), PASS 인증 결제로 넓혔습니다.
그 결과 SMS 인증을 통해 이뤄진 무단 소액결제 63건이 추가됐습니다. 다만 PASS 인증 및 앱마켓 결제에선 비정상적 소액결제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KT는 이번 조사 결과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 기관에 보완해 신고했고 추가로 피해가 확인된 고객에 대한 보호 조치도 이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대규모 전수 조사에 시간이 소요된 점에 대해 다시 한 번 사과하고 정부 조사 및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는 한편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최근 불거진 해킹 의심 서버 폐기 등 증거은닉 의혹에 대해서는 의도적 폐기가 전혀 없었다며 "관련 수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다만 위약금 면제 여부와 관련해서는 "민관합동조사단 결과와 고객 피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