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현장 카메라]없거나 못 쓰거나…대피 못 할 ‘이름뿐인 대피소’
2022-11-27 19:46 사회

[앵커]
이렇게 북한이 기세등등한데 만에 하나라도 진짜 도발한다면 우리는 어디로 대피해야 할까요.

대피소가 있긴 한데 방치된 곳이 허다합니다.

현장카메라 김태영 기자가 집중점검 했습니다.

[기자]
[현장음]
(사이렌)

이렇게 공습경보가 내려지면 민방위 대피소로 빨리 이동해야 합니다.

전국에는 1만 7천 개가 넘는 대피소가 있는데요.

쉽게 찾을 수 있는지 또 대피소로서 제 기능을 하고 있는지 현장에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북한과 불과 20여 km 떨어진 접경 지역에 있는 경로당입니다.

계단을 내려가니 1백 명 넘게 수용하는 대피시설이 있습니다.

선반엔 재난방송을 들을 수 있는 라디오와 비상약품함이 있습니다. 

약품함을 열어봤습니다.

[현장음]
"2017년 게 있네."

사용 기한이 5년 이상 지난 감기약부터 연고까지 수두룩합니다.

약효가 없거나 성분이 변질돼 오히려 해로울 수 있습니다.

면사무소가 올 1월 작성한 대장엔 응급처치 용품은 이상이 없다고 돼 있습니다.

[면사무소 관계자]
"저희가 매주 점검은 해요. 의약품까지는 유통기한까지는 못 본 것 같거든요."

다른 곳도 살펴봤습니다.

이 대피소는 아예 입구부터 막혔습니다.

아파트 지하 대피소 앞입니다.

앞에는 주민들이 놓은 짐이 있고 문은 자물쇠로 잠겨 있습니다.

[현장음]
"어휴 문이 안 열리네."

여러 번 힘을 줘야 겨우 문이 열립니다.

경사가 급한 계단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손잡이가 없습니다.

노약자는 신속히 대피하기 쉽지 않고 장애인은 접근조차 불가능합니다.

소방시설은 1987년 제작됐다는 스티커가 붙어있고, 먼지가 잔뜩 쌓였습니다.

[아파트 관계자]
"점검 같은 건 안 나온 것 같던데요." (한 적이 없던 모양이네요.) 네."

[아파트 주민]
"20년을 살았는데 (어디로) 대피하라고 한 번도 안 들어봤어요. 이제 처음 들어봤어요."

대피소는 비상사태 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지만 현장에선 전혀 지켜지지 않는 겁니다. 

주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각 지자체 홈페이지엔 대피소 명단을 올려놓습니다.

그런데 이마저도 엉망입니다.

대전의 한 구청은 지난해 말 문을 닫은 가게 이름을 그대로 표시했다 1년이 다 돼서야 수정했습니다.

[A구청 관계자]
"뒤늦게 자료를 어제 수정을 했어요. 홈페이지 부분은 미비했던 것 같습니다."

동해로, 서해로 연일 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 북한.

우리의 마음가짐이나 대비태세는 부족하기만 합니다.

현장카메라 김태영입니다.

영상취재:박영래 김민석 정승환
영상편집:강 민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