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역 축제 현장에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심심찮게 제기되곤 합니다.
상인들과 지자체들이 이런 바가지 오명을 벗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조현진 기자입니다.
[기자]
꽃게를 저울에 올리니 소수점 두 자리까지 무게가 확인됩니다.
어시장 입구에 설치된 양심 저울입니다.
9월 축제를 앞두고 인천 남동구는 시장 상인회와 함께 저울치기나 원산지 속이기 근절을 위한 자정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바가지 상술에 대한 소비자들 불신을 해소하자는 취지입니다.
소주와 칼국수 같은 음식 가격도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안광균 / 소래포구 전통어시장 상인회장]
"(매운탕도) 큰 사이즈로 2만 원해서 저렴하게 받으려고 식당가랑 상인회랑 협의해서 지금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른 지역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합니다.
오는 18일부터 열리는 강릉단오제, 주최 측은 축제를 대표하는 먹거리인 감자전과 막걸리 가격을 못박았습니다.
감자전은 2장에 1만 2천 원, 막걸리는 1병당 6천 원으로 정했습니다.
[김형준 / 강릉단오제위원회 사무국장]
"축제 이미지 손실 그리고 지역 나아가서는 강릉 관광 자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니까…"
제주도는 본격 휴가시즌을 맞아 바가지 요금을 막는 조례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행정당국이 관광지 물가 관련 실태조사를 하고,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사안을 개선하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다른 곳보다 비싸다는 인식이 강한데, 관광객들에게 과도한 요금을 부과하는 걸 막겠다는 취지입니다.
[오지원 / 제주 관광객]
"(가격이 비싸면) 시장 방문을 좀 꺼리게 되고 구매 자체도 많이 꺼려지지 않을까. 아예 관광지에 방문을 안할 것 같은…"
[이병호 / 제주 동문시장 상인]
"욕심만 줄이고 조금만 (이윤을) 덜 가져가겠다고 생각하면 오히려 더 잘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최근 바가지 요금 논란이 잇따르면서 지역 이미지가 나빠지는 경우가 속출하는 상황,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해 내놓은 대책들이 제대로 효과를 낼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
영상취재 : 김한익 김찬우
영상편집 : 방성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