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전기료, 주택용 2배 이상 인상…제품값 오를라 우려도
[채널A] 2022-09-30 19:03 뉴스A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url 공유 텍스트 크게하기 텍스트 작게하기

[앵커]
기업들이 내는 전기요금은 산업용으로 따로 책정되는데요.

역시 오릅니다.

특히 전기 사용량이 많은 대기업들이 큰 폭으로 오르는데요.

원가 오르면 제품 가격도 또 따라 올라가겠죠.

이민준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고심 끝에 칼을 댄 건 산업용 전기요금입니다.

[이창양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용량 사용자는 부담능력과 소비 효율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조정을 하겠습니다."

산업용의 경우 계약자 숫자로 따지면 전체의 0.2%밖에 안 되지만 정작 전기 사용 비중은 55%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많이 쓰는 만큼 요금도 더 부담하란 겁니다.

정부는 주택용 등은 kWh당 7.4원 올렸지만 대기업이 많이 쓰는 고압 B C 요금은 두 배가 넘는 16.6원을 올렸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kWh당 평균 15~30%가량 오른 셈인데 겨울엔 더 비싸집니다.

기업들은 당장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난해 전력 사용 1위는 삼성전자로 1조 7천여억 원을 요금으로 납부했습니다.

SK하이닉스도 8천6백여억 원, 현대제철은 6천7백여억 원을 전기 요금으로 냈습니다.

우리나라 주력 산업들입니다.

인상된 기준을 적용하면 기업별로 수백에서 수천억 원을 더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기업 관계자]
"철강이나 반도체 같은 전력사용량이 커서 수백억 원대 부담이 가중되는데, 지금 고환율하고 원자재 폭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겹쳐지면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까 걱정이 많이 됩니다."

결국,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생산비용이 크게 오르면 소비자 가격에 전가를 하겠죠. 자기들이 생산하는. 그런 부분에서는 또 다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예상보다 높은 전기요금 인상에 산업계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

영상취재 : 김기범
영상편집 : 정다은


Daum에서 [채널A 뉴스] 구독하기 (모바일)

Naver에서 [채널A 뉴스] 구독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url 공유
댓글쓰기

재생목록

2/24 연속재생 연속재생온

동영상FAQ

신한은행_0731
오늘의 날씨 [날씨]월요일 맑음, 서울 최고 27도 초여름 날씨 [날씨]월요일 맑음, 서울 최고 27도 초여름 날씨
신한은행_0520
지역별 채널번호 경기 구리/하남/여주 Ch. 17
채널A 대표전화번호 02)2020-3100
공지사항 +
(주)채널에이 대표이사: 김차수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 (03187) 대표전화: (02)2020-3114 시청자상담실: (02)2020-3100
사업자등록번호: 101-86-62787 부가통신사업신고: 022357호 통신판매업신고: 제2012-서울종로-0195호
이동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