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다시 간다]중고부품 재가공까지…임대 헬기 안전은 어디에?
2022-12-13 19:33 사회

[앵커]
지난달 강원도 양양에서 제작된 지 61년 된 산불 예방 헬기가 추락해 탑승자 전원이 숨졌죠.
 
지자체가 민간 업체에서 임대한 헬기였는데요.

이런 헬기들, 사용한 지 수십 년 된 낡은 기종이란 것도 문제지만 부품을 구하기도 어렵습니다.
 
안전은 뒤로 밀린 임대 헬기 실태를 다시 간다, 남영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헬기가 산불 예방 방송을 합니다.

[현장음]
"우리 모두 산불을 조심합시다."

그런데 갑자기 제자리를 맴돌더니 추락합니다.

일대는 폭발음과 시커먼 연기에 휩싸입니다.

양양에서 일어난 헬기 추락 사고로 탑승자 5명이 모두 숨졌습니다.

[최초 신고자]
"한 번 터지고 마는 게 아니라 (폭발이) 아주 크게 대여섯 번. 연기가 치솟아서 근처에 접근조차 하기 어려웠죠."
 
지난달 헬기가 추락한 현장에는 지금도 잿더미와 헬기 파편이 널려 있는데요.

사고 사망자들을 추모하려고 누군가 가져다 놓은 꽃과 소주병도 보입니다.

국토교통부 산하 조사위원회는 사고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

사고 헬기는 속초시와 고성군, 양양군이 공동으로 민간업체에서 빌린 헬기.

[속초시 관계자]
"(헬기 계약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항은 뭐예요?) 아무래도 비용을 보게 되겠고요. 전체적인 걸 다 확인해야겠죠."

임차 헬기는 조달청 나라장터 홈페이지에 올라온 민간업체 헬기 정보를 확인한 뒤 임대차 계약을 맺습니다.

가격이나 기종, 속도 같은 기본적 요구 사항이 맞으면 계약이 이뤄집니다.

헬기 연령이나 점검 이력 같은 안전 관련 정보는 제시되지 않습니다.

[○○도 산림관리과 관계자]
"물을 많이 담수할 수 있는 헬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고."

산불 진화용 대형 헬기 수요가 커지면서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게 현실.

헬기 확보가 우선이다 보니 안전 문제는 후순위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전국 지자체 임차 헬기 74대의 평균 기령은 35.7년.

40년 넘은 헬기도 31대나 됩니다.

정비만 제때 하면 수십 년씩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단종된 기종은 부품을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조영진 / 한서대 헬리콥터 조종학과장]
"단종 헬기는 부품도 수급하기가 어려운 실정이거든요. 최초 설계하고 개발된 이후 30년 정도 되면 부품 생산이 중단되죠. 안전에 더 취약한 건 맞죠."

부품을 못 구하면 중고 헬기 부품을 재가공해 쓰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지자체의 헬기 운용 방식에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조영진 / 한서대 헬리콥터 조종학과장]
"예를 들어 100시간 계약을 한다면…. 그해 산불이 적게 나면 50시간만 사용할 수 있거든요. 50시간은 사용 안 하는 거죠. 그런데 최근에는 그게 아니고 무조건 띄워요. 비행 시간이 증가하면 사고율도 증가할 수밖에 없거든요."

지난 2016년 이후 지자체 임차 헬기 추락 사고는 7건으로 1년에 한 번꼴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임차 헬기 정부 조달 과정에 안전성 평가 요소가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다시간다 남영주입니다.

PD : 홍주형
AD : 나난현
[채널A 뉴스] 구독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