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신속항원키트 양성 21건…재검사해보니 7건은 뒤집혀
2020-12-23 19:39 뉴스A

코로나 19 확진자가 사흘만에 다시 천명대로 올라가며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민주당에서 신속항원키트를 자가진단용으로 도입해 무증상 감염자를 빨리 찾아내겠다고 했다가 시기상조라는 논란이 일자 논의가 쏙 들어갔죠.

실현 가능성은 없는건지 이상연 기자가 업체를 찾아가봤습니다.

[리포트]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용 허가를 받은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개발한 업체입니다.

코로나 19 검사를 의뢰하자 키트 안에 있는 긴 면봉을 콧속 깊숙이 넣어 검체를 채취한 뒤 시약에 풀어 진단 기기에 떨어뜨립니다.

15분 정도 지나자 빨간 줄이 나타납니다.

두 줄이면 양성인데 한 줄 음성으로 나왔습니다.

[이준황/ 신속항원진단기 개발업체 개발팀장]
"키트 구성품으로 추출부터 검사까지 한번에 끝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디서나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콧속에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하는 비인두 PCR 방식과 침을 뱉어 검사하는 타액 PCR, 신속항원검사 중 한 개를 골라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의 이 임시선별검사소에는 타액 검사, 신속항원검사는 실시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붙었습니다.

[서울 양천구 관계자]
"꼭 원하는 사람만 해주고 있어요. 정확도도 떨어지는데 두 번 검사를 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권하지 않구요"

정확도 98%인 비인두 PCR에 비해 신속항원감사는 90% 정도로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에서는 6천여 건의 신속항원검사가 이뤄져 21건이 양성반응을 보였습니다.

2차로 다시 검사해보니 확진된 건 절반 정도인 11건뿐이었습니다.

코로나19 환자가 음성으로 잘못 진단 받아 감염을 전파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겁니다.

방역당국은 이런 이유로 신속항원검사를 의료진만 가능한 의료행위로 제한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최근 민주당은 의료법 개정까지 언급하며 신속항원검사를 자가진단용으로 도입하겠다고 나섰지만 시기상조라는 논란이 일자 관련 논의를 멈췄습니다.

미 FDA는 이번달 초 호주 제약사가 개발한 자가진단 키트를 승인했습니다.

문제를 보완하겠다는 의지도 없이 정치권이 말만 앞섰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채널A뉴스 이상연입니다.

영상취재 정기섭
영상편집 김미현
[채널A 뉴스] 구독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