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북송 사건은 당시 국제사회에서도 인권 침해라는 문제제기가 있었습니다.
유엔이 한국을 방문해서 실태조사를 벌이려다 무산되기도 했는데요.
이제 와서 보니, 당시 청와대가 유엔이 방문하면 협조하지 말라는 취지의 의견을 관련 부처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의혹의 중심에 서훈 국가안보실장 이름이 또 등장했습니다.
김유빈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2019년 11월 탈북 어민 강제북송 이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실태조사를 위해 방한하려 했지만 무산됐습니다.
방한 무산 이유와 관련해 여권에서는 당시 청와대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강제북송 이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와 외교안보부처 회의 때 킨타나 보고관 방한건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훈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유엔에서 인권문제를 거론하면 한미관계나 국격에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일은 없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로 말했고, 이 발언은 관련 부처에 전달됐다고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이 주장했습니다.
한 정부 소식통은 "국가안보실장이 이렇게 얘기하면 일선 외교안보부처는 '절대 협조금지' 의미로 받아들이게 된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킨타나 보고관은 사건 관련 정부 당국자들과의 면담 일정을 잡지 못해 방한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이주영 /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2020년 1월)]
"지난 연말 방한하여 탈북선원 강제북송 문제를 조사하려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의 방한이 무산된 점에 강력한 유감을 표하며"
킨타나 보고관은 2019년 1월과 6월 두 차례 한국을 방문했지만 그해 11월 강제북송이 발생한 이후에는 2년 넘게 방한하지 못했습니다.
당시 상황에 대한 해명을 듣기 위해 서훈 전 실장에게 연락을 취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
영상취재 : 이 철 정기섭
영상편집 : 김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