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잇단 외교·안보 인사 사칭 메일…누가 왜 뿌렸나?
2018-11-29 19:35 뉴스A

'가짜 메일' 사건, 정치부 유승진 기자와 이야기 이어가보겠습니다.

1. 정작 사칭을 당하는 당사자들도 곤혹스럽긴 마찬가질텐데요. 문정인 특보는 이 사건을 어떻게 대응하고 있다고 합니까?


문 특보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 "대비책도 없다"며, "메일을 받은 사람들이 연락이 오면 지우라고 하는 수밖엔 없다"고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

일일이 전화가 오면 아니라고 알려주는 방법 밖엔 없는 겁니다.

2. 외교안보 인사들을 노린 사칭이라면 단순히 돈을 목적으로 하는 범죄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 아닙니까?

네, 북미회담 이틀 전 외교부 산하 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의 A 소장의 이름으로 유포된 메일을 보면요.

'보안 주의'라며, 북미 협상상황을 공유한다는 내용인데 "외교부가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의심하고 있다", "북한이 자발적으로 비핵화를 하도록 둬서는 안 된다"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순히 돈 보다는,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방향을 흔들면서 또 정보도 캐내려는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그렇다면 그 메일들, 어디서 어떻게 보낸 건지 소재 파악은 됐습니까?

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윤건영 실장 사칭 메일의 경우 "해외 서버라 추적이 더 진행되지 않았다"라고 말했습니다.

일단 청와대는 범인이 더 이상 같은 행동을 못하게 IP를 차단했다고 했지만, 범인이 누구인지는 특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4. 단순히 해외 서버라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일, 단순히 윤건영 실장이나 문정인 특보만의 일은 아닐 것 같은데요?

네, 민감한 외교안보 정보를 다루는 부처, 대표적으로 통일부의 사례를 한번 보겠습니다.

앞서 본 사례들처럼 통일부 관계자의 계정을 사칭하는 등 이른바 '해킹 메일'로 접수된 건수를 보니, 지난해부터 급증하더니, 올해는 8월까지 집계한 것만 151건에 달합니다.

5. 보통 어디서 해킹 시도가 들어옵니까?

지난 5년간 통일부에 해킹을 시도한 IP를 국가별로 살펴봤습니다. 가장 많은 곳, 물론 우리나라였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이 가장 많았습니다.

과거 북한 소행의 해킹 사례들이 중국에 서버를 두기도 했단 점에서 이번 사건들을 가볍게 봐서만은 안 될 것 같습니다.

정치부 유승진 기자였습니다.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