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3년간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5천887명(중복 인원 제외)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021년 말 대비 25.3% 증가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8% 가량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20대 증가세가 뚜렷하게 드러난 겁니다.
신용유의자는 연체기간이 정해진 기간(대출 만기 3개월 경과 또는 연체 6개월 경과 등)을 초과하면 신용정보원에 등록되며 △신용카드 사용 정지 △대출 이용 제한 등 불이익을 받습니다.
특히 이들 20대 중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 수준의 대출을 갚지 못하는 소액 채무자 비중이 컸습니다.
신용평가회사에 단기연체 정보가 등록된 20대는 지난 7월말 기준 7만3천379명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연체 금액이 '1천만 원 이하'인 경우가 88%에 달했습니다.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경기 둔화 여파에 제대로 된 일자리까지 구하지 못하면서 청년층에 빚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강일 의원은 "저성장이 지속되는 중에 20대 신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생계 어려움이 소액연체라는 결과로 드러났다"며 "청년층 소액연체를 채무조정 등 금융으로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와 사회 정책 등 거시적 청년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