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정부 예산 역주행…중증외상센터가 아프다
2017-11-25 19:34 뉴스A

[리포트]
중증외상 치료 분야를 지원해야 한다는 국민들의 요구가 거센데요, 정부 예산은 역주행을 하고 있습니다. 내년도 중증외상센터 지원 예산은 오히려 줄었다고 하는데요,

정책사회부 박지혜 기자 나왔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1]내년 중증외상센터에 지원되는 예산이 9% 가까이 줄었는데 이유가 뭔가요?

가장 큰 이유는 중증외상센터에서 일할 사람이 없다는 겁니다. 중증의료센터의 의사와 간호사들은 전체적인 환자 상태를 살펴야 하기 때문에 전문 인력 자체가 많지 않습니다.

또, 근무강도가 높아 이직이 잦습니다.

우리나라의 중증외상센터 9곳 중에 전담 전문의의 최소 인력 기준인 20명을 모두 채운 곳은 단 한 곳도 없습니다. 간호사 이직률은 절반에 달합니다.

중증외상센터의 현 실태를 들어보시시죠.

[조현민 / 부산대병원 외상센터장]
“첨단 장비를 환자한테 달아야 하는데 장비를 다는 경험이 많지 않다는 거죠. 0241 업무가 과도하게 많다 보니까 중간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고요.”

정부는 전국 16곳에 센터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는데 실제 연 곳은 9곳에 불과합니다. 지원 예산을 편성해도 남아도는 상황인데요,

지난해 지원 예산 중 101억이 남았습니다. 이중 40억은 경남 지역 센터를 여는데 쓰일 돈이었지만 신청한 병원이 없어서 그대로 남은 거고요, 나머지 예산 중 오십 육억 원은 전문의한테 지원되는 돈인데 최소 쉰 여섯명의 전문의를 1년 동안 지원할 수 있는 예산이지만 지원할 인력이 없어 그대로 남았습니다.

올해도 예산이 남은 상태다보니 다음해 예산까지 줄게 된 겁니다.

[질문2]
상대적으로 홀대받는 중증외상센터인데 그러면 어떤 환자들이 주로 이용하나요?

네, 병원에 오자 마자 바로 수술을 해야 하는 큰 상처를 입은 환자들입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요, 6m 그러니까 아파트 3층 높이에서 떨어졌거나 중장비 사고 또는 총상 환자들입니다. 그렇다보니 환자 대다수가 단순 노무나 기계 조작 업종에 종사하는 ‘블루칼라’ 노동자들입니다.

병원비를 감당하기 힘든 경우도 많아 센터에서도 난감한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질문3] 사회적 약자들이 주로 중증외상센터를 이용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어디서부터 개선해야 할까요? 

전문센터가 생긴지 오래되지 않아 곳곳에 허점이 있는데요, 대표적인 게 ‘건강 보험 수가’ 문제입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여기 헬기에는 피를 많이 흘린 중증 외상 환자가 타고 있는데요,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갑자기 심정지가 왔습니다.

단순 심폐소생술로는 해결할 수 없는데 김 앵커, 이 경우 의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의사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겠죠)

네, 하지만 헬기에서의 의료 행위는 수가를 인정받지 못합니다. 현행법상 의료기관 안에서 의료 행위를 해야 건강보험 수가를 인정받기 때문입니다.

이런 구조는 병원과 의사에게 모두 부담인데요, 현장 목소리 들어보시죠.

[조현민 / 부산대병원 외상센터장]
"장기적으로, 5년에서 10년 정도 투자를 과감하게 해서 그 이후에 우리나라 실정에 맟는 시스템과 인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예방가능사망률'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제대로 치료만 받았어도 살 수 있었던 환자의 비율을 뜻하는데요, 우리나라는 100명 중 35명의 외상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해 숨졌습니다.

반면, 선진국은 15명 수준에 불과합니다. 35대 15, 이 비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바로 중증외상센터에 근무하는 의료진들의 손 끝에 달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