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치매에 걸린 노인들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지문과 사진을 미리 등록해 놓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시행된지 7달이 지나도
등록률이 1%도 채 되지 않아
거의 유명무실해졌다고 합니다.
어찌된 사연인지 백미선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지난 12일 충남 서천에서
치매에 걸린 80대 할머니가
논바닥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실종된 지 8일 만입니다.
[인터뷰: 이건길 / 발견자]
“마네킹이 뼈다귀처럼 돼 있어 가지고 누워있으면.. 그런 형상이었거든 아주 깡 말라 갖고 너무 안쓰러워서 지금도 마음이 안 좋네...”
지난 한 해 치매노인 실종신고 건수는
7천6백여건.
치매노인들은 발견이 돼도
사는 곳이나 이름조차 확인이 어려워
보호자를 바로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전에 어르신의 사진과 지문을 등록해 놓는 제도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됐지만
등록률이 0.4%에 불과합니다.
사전 등록제의 또 다른 대상인
아동과 지적장애인 등록률에 비해서도
낮습니다.
이렇다보니 지난 7달 동안
등록된 지문으로 실종 치매노인을 찾은 사례는
단 7건에 그쳤습니다.
치매환자 보호자들이 이 제도를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등록을 하려면 치매 노인이 보호자와 함께 직접
경찰서를 찾아가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경찰이 이용자들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어린이집과 유치원 방문이 대부분입니다.
[전화 인터뷰: 경찰 관계자]
“지금 인력 투입하는 게 어린이집 유치원 쪽으로도 버거워요. 인력 증원되면 그런(치매노인 방문등록) 서비스까지 저희가 확대를 해볼 계획은 가져야 겠죠.”
치매 어르신 옷에
고유 번호를 붙여
실종에 대비하는 사업도 등록률이 4.5%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치매환자로 실종 신고된 어르신 가운데
170여명이
현재 생사조차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사전 등록률을 높일 획기적인
대안이 절실합니다.
채널A 뉴스 백미선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