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실종 사건이
검찰의 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 검찰은 올해 초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의
진위 여부를 수사한 적이 있는데요,
당시 사건을 맡았던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가
'사초 실종' 수사도 맡을 것으로 보입니다.
노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검찰이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 실종 의혹'에 대한
수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시민단체인 활빈단이
회의록 증발 논란의 진실을 가려달라며
대검찰청에 수사의뢰서를 냈고,
새누리당도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활빈단의 의뢰만으로
당장 수사에 착수하는 건 아니지만.
정치권에서 정식으로
검찰에 수사를 요청할 경우
검찰은 원칙대로 사건을 배당하고
수사에 착수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에
배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안1부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과 관련한
수사를 담당했습니다.
당시 주임검사가 남아있고,
대화록 발췌본 등 수사 기록도 있기 때문에
공안1부에서 우선 수사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수사가 확대될 경우 인력을 파견 받아
특별팀을 꾸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수사의 초점은 회의록이 삭제됐는지,
삭제됐다면 삭제를 지시하고 실행한 사람이 누구인지,
국가기록원에 회의록이 넘겨졌다면
관리가 부실했는지 밝히는 데 맞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수사가 시작되면
대화록의 작성과 이관에 관여한
참여정부 핵심인사들이 줄줄이 수사 대상에 오를 전망입니다.
채널A뉴스, 노은집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