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 와이드]北 대동강 맥주에도 밀린다…한국 맥주 왜?

2013-08-06 00:00 사회,사회

[앵커멘트]

요즘 같이 더울 땐 시원한 맥주 생각나시죠.

그런데 언제부턴가
국산 맥주가 수입 맥주에 밀리고 있는데요,
심지어 북한의 대동강 맥주보다도
맛이 한 수 아래라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한국 맥주, 무엇이 문제일까요.
이영혜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싱크> 연하고 부드럽고 향긋한 맛으로!

평양에서 인기가 높은 대동강 맥주.

한 외신에선 맥주 맛은
남한이 북한에 못따라간다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 : 다니엘 튜더/영국 이코노미스트 기자]
“한국 맥주, 좀 밍밍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따뜻한 나라에서 시원하게 먹을 수 있고 소주와 섞으면 잘 어울리는 맥주입니다.”

일본과 유럽 등 수입 맥주의
시장 점유율은 작년 15%에서 올해 22%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습니다.

과연 맛 때문일까.

[스탠드업]
같은 저온 발효 방식으로
한국과 일본, 독일에서 각각 생산한 맥주를
동일한 종이컵에 담아
시민들에게 맛을 물어봤습니다.

[인터뷰 : 김은미/서울 노원구]
1번 맥주가 맛이 깊은 것 같고 평소에는 청량감이 좀 많은 맥주를 좋아해요.

[인터뷰: 김은택/경기 하남시]
처음 먹은 시음 맛이 톡 쏘고 강한 맛이 드는 것 같습니다.

무작위로 응답한 시민들의 절반은 일본 맥주를
가장 맛있다고 답했고 35%는 독일 맥주,
15%만이 한국 맥주를 선택했습니다.

[인터뷰 : 정철/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교수(양조학 전공)
외국은 비터 호프(맥주의 쓴 맛을 내는 원료)를 많이 써서 향이 강하게 끔, 쓴 맛이 강하게끔 제조가 돼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느끼기엔 국내 맥주가 조금은 싱겁게 느껴질 수 있는 거죠.

맥주 맛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소는 거품입니다.

거품이 풍부할수록 맥주의 탄산과 향이
오래 남아 맛이 좋습니다.

유럽식 밀맥주는 이런 거품 유지력이
다른 맥주에 비해 뛰어납니다.

보리외에 밀과 같은 곡물을 넣어서
단백질 함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결국 풍부한 원료와
독특한 제조방식이 맛의 비결인 셈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