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이른바 9억원 수수 의혹 사건,
기억하실텐데요.
1심에서 무죄가 선고된 이후
1년이 넘도록 항소심 재판이
열리지 않고 있는데..
이런 가운데 이 사건의 핵심 증거가 드러났습니다.
가장 큰 쟁점이었던
1억 원짜리 수표를
한 전 총리 보좌관이
몰래 추적하다 적발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유재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만호 전 한신건영 대표로부터
9억 원을 받은 혐의로
지난 2010년 재판에 넘겨졌던 한명숙 전 국무총리.
전직 국무총리의
거액 정치 자금 수수 사건이어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한 전 총리와 검찰 간의
뜨거운 법정 공방 끝에
지난 2011년 10월 1심 법원은
한 전 총리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건설업자 한 씨가
“돈을 건네지 않았다”고
진술을 돌연 바꾼 게
결정적이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한 전 총리의 보좌관인
김 모 씨가 이 사건과 관련해
금융실명제법 위반으로
벌금 1백만 원의 유죄 확정판결을
받으면서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김 씨는 지난 2010년 6월
검찰 수사에서
한 전 총리 여동생이
한만호 씨 측에서 발행 의뢰한
1억 원짜리 수표를
전세자금으로 쓴 것으로 알려지자,
당시 민주당 모 의원 보좌관을 통해
은행 관계자와 접촉해
수표발행의뢰인 등
금융거래 정보를 요청한 혐의로
기소됐습니다.
1억 원 수표 사용 부분은
9억 수수 의혹 사건의
핵심 쟁점.
1심 재판부는
“여동생의 수표 사용 사실만으로
한 전 총리가 수표를
전달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한 전 총리의 보좌관이 은밀히
수표 출처를 확인해본 사실이
드러나면서
수표 전달 과정의 의문은
다시 고개를 들 것으로 보입니다.
[스탠드업 : 유재영 기자]
검찰은 김 보좌관에 대한 유죄판결을
새로운 정황증거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한 전 총리의 항소심 재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됩니다.
채널A 뉴스 유재영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