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부정부패를 저지른 공무원들은
징계가 마무리되지 않으면 중도에 그만둘 수 없고
파면이나 해임된 뒤에도 재취업에 제약을 받습니다.
그런데 공기업이나 준정부기관 직원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감사원 감사 결과 드러났습니다.
이현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재작년 채용비리를 저지른 하남 도시개발공사의 모 팀장은
중징계 처분을 앞둔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인사위원회가 열리는 날 사직서를 내고 그만둔 뒤,
같은해 5월 의왕도시공사 경력직으로 재취업했습니다.
공무원과 달리 징계 과정에 있을 때
본인 의사로 직을 그만두는
'의원면직' 제한 규정이 없어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감사원 조사 결과 공기업과 준 정부기관 59곳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의원면직 제한 규정이 없거나 불분명했습니다.
[인터뷰: 김종운 / 감사원 과장]
"의원 면직이 허용되면 다른 공공기관에 자유롭게 취업을 할 수 있습니다. 비리공직자, 비위행위자에 대한 적절한 행위 이뤄졌다고 볼 수 없어서 감사원에서 그걸 막은 겁니다."
음주운전, 성범죄 등을 저지른 공무원에 대한 징계수위를
임의로 낮춰 '솜방망이 처벌'을 한 사례도 다수 적발했습니다.
서울 성동구청은 직원 모 씨가
견책 이상의 징계를 해야 하는
성범죄를 저질렀지만 '훈계'로 그쳤습니다.
최근 고위공직자에 대한 고강도 감사에 들어간 감사원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미흡한 징계 규정까지 들여다보며
전방위 공직기강 잡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채널A 뉴스 이현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