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실무회담이 결렬된 지 하루만에 북한은 남측이
결렬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여) 하지만 정부는 북한이 ‘도’를 넘었다고 보고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을 방침입니다.
임수정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정부는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을 경우
공단 재가동을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분명히 했습니다.
김싱크/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북한이 개성공단 사태의 재발방지 대책에 대해
진정성 있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재발방지 보장과
공단의 발전적 정상화가 정부의 분명한 원칙'이라는
자세를 고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자실 난입이나 회담 내용 공개등
북한의 비정상적 행태가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더 이상 회담을 진행할 수 없다는 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북한은 우리측이
무례한 주장만 고집하며서
노골적으로 지연 전술에 매달렸다고 비난했습니다.
싱크:북한 조선중앙
“남측은 개성공업지구 정상화 회담을 파탄의 위기에
몰아넣음으로써 초래될 모든 후과의 책임에서 절대로 벗어날 수 없다
남북은 회담 결렬 후에도 판문점 채널로 통화를 했지만
특별한 내용을 주고받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회담 결렬에 대한 여야의 반응은 일부 차이가 있었습니다.
새누리당은 "북한이 개성공단 정상화의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고,
민주당은 "고위급 당국자들이
직접 대화에 나서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습니다.
채널 A 뉴스 임수정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